TCP/IP
데이터를 팩킷이란단위로 잘개 쪼개서 조립한다.
인터넷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업자 : provider = ISP
예 ) KT, SKT, LGU+…
도메인은 ip를 암기하는게 힘들기때문에 인간이 친숙한 이름을 붙인거다.
절대 ip주소를 모르면 접속할수없음!
Scanner 생성자에 InputStream source가 있는데
그럼 데코레이터 디자인 패턴 아닌가? => 아님
9/29
지구상에있는 모든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경유하지않고 하드웨어로 바로 연결되는게 어뵤다.
운영체제 : 하드웨어 제어
캐릭터 스트림 : 버퍼에 담아놓기때문에 바로 출력하지 않고 플러쉬를 해줘야 나머지가 다 출력됨 항상 잊지 말고 캐릭터 스트림의 출력쪽은 반드시 flush호출해야함
바이트 스트림 : 바로 출력함
추천하는 방법 : 캐릭터/바이트 스트림 출력할때는 상관없이 그냥 플러쉬를 호출하기
소켓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모두 TCP이다.
http: stateless방식으로 돌아감. 반드시 이해 필요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