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ou are using an outdated browser. Please upgrade your browser to improve your experience.

자료를 묶는다 : cluster, clusting : 여러개의 조각들을 묶어서 하나의 제품처럼 쓰는 것

패러렐 코딩은 방법자체가 다름. 병렬프로그래밍 concurrent랑은 다름

자바프로젝트

Observer디자인 패턴 적용하기

AI : 컴퓨터가 의사 결정을 하려면 규칙이 필요함. 사람도 가치관, 환경, 성향 등에 의해 의사결정을 내린다.

이산수학 : 디지털 수학

EBS 고교EBS-고1수학 - 정승제 선생 EBS 50일수학 일단 중고등수학이 밑바탕이 되어야 이산수학도 배울수있는거 거듭 강조되는 학위에 대한 중요성.. 학사빨리따자 그리고 석사따야함 ㅜ

이산수학관련해서 공부 차근차근해주기 -> 수학은 회사가서 공뷰허셈!!

옵저버 패턴 - publish-subscribe

위키백과 디자인패턴에서 그림 참고

개발자간의 의사소통 수단은 UML이다. 도식화하는걸 습관화하자

~~listener : Observer패턴이라고 생각하자


10/13

Listener : 옵저버패턴!

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는 이유 : 코드 구조가 복잡해지더라도 새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기능변경/삭제할때 좀 더 쉽게하기 위함이다.

사실 우리가 옵저버 패턴을 직접 만들일은 거의 없을것이다. 우리는 규칙에따라 클래스를 만들고 등록하는 일 정도만 할 것이다.


발행자와 구독자간의 데이터 공유하기

사람이 사람에게 일을 시킬땐 말로 명령을 내린다. 코드의 세계에선 그것이 메소드 호출인것이고 그래서 메소드이 이름이 동사인것임

파라미터로 작업한것을 파라미터로 리턴받기 -> 그림필기 보기

서블릿을 배우면 매소드 이름이 길어지는 이유를 알게 될 것이다.

context : 환경

대부분의 레퍼런스는 유연성을 고려해서 상위클래스를 쓴다.(Map클래스같은)

연봉 3800이상 질문

해시맵은 key나 value에 null을 허용하고 테이블은 허용하지 않구요

해시맵은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사용되는 걸 보장하지 않아요 = Thread Safe하지 않다.(동시에 put을 할 수 있다. = lock을 걸지 않음)

해시테이블은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사용하는걸 보장한다. = Thread Safe하다. (누가 put할때 다른놈은 put할수없음)

그래서 멀티스레딩을 할 때에는 해시테이블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.

in/out 파라미터

값을 꺼낼수도 있고 값을 담아서 호출자에게 건네줄수도 있다.

코딩 잘하는 개꿀팁 : 반복코딩하기

gradle 설정파일 : .settings, .classpath, .project

UI프로토타입 : 카카오오븐, 발사믹툴(유료)